韩国语终结相补助动词探讨——以“버리다”和“치우다”为中心

论文价格:300元/篇 论文用途:硕士毕业论文 Master Thesis 编辑:硕博论文网 点击次数:
论文字数:52585 论文编号:sb2022062214520648700 日期:2022-07-09 来源:硕博论文网

本文是一篇韩语论文研究,本论文最终选定辅助动词“扔掉”和“收拾”为研究对象进行了研究,没有对其他辅助动词进行讨论。另外,由于电视剧话语团不多,提取的“清理”用例很少,所以在火用特性的分析中留下了遗憾,虽然也不能深入查明副动词汉语对应形式出现的原因,但在今后的研究中加以完善。

제 1 장 서론
1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한국어의 보조동사1는 본동사를 도와서 동사의 서술 기능을 문법적으로완전하게 해 줄 수 있고 독립된 서술어로 사용하지 못하는데,시제와 상,양태, 사동과 피동 등 다양한 문법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국립국어원(2005)의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에서 조사된 65,535 개의 일반 어휘 항목 중에 보조동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0.07%이며, 보조동사의 빈도가 전체 어휘 빈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57%에 이르므로 보조동사는현대 한국어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국어학에서 주로 보조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완료나 지속,유지 등 다양한 모습에 따라 보조동사를 분류하는 바, 이 중에서 완료나종결의 의미를 가진 종결상 보조동사2는 다양한 양태의미도 지닌다. 종결상 보조동사는 선행동사를 도와주면서 화자나 주체의 심리적 태도와 미세한 의미 차이를 표현하며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ㄱ. 부동산에 대한 미련은 일찌감치 끊어 버리는 게 좋다. (고려대 말뭉치)ㄱ’. 부동산에 대한 미련은 일찌감치 끊는 게 좋다.ㄴ. 이 은행은 부실하니까 해외에 팔아 치울 수밖에 없다.(고려대 말뭉치)ㄴ’. 이 은행은 부실하니까 해외에 팔 수밖에 없다.
위의 예문(1 ㄱ, ㄴ)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동사 ‘버리다’와 ‘치우다’가 있는 경우는 예문(1 ㄱ’, 1 ㄴ’)과 같이 보조동사가 없는 경우보다 화자가 동작의 종결에 대한 강조를 더 분명하게 드러내며, 이 동작에 대한 심리적태도도 미세하게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보조동사는 화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태적인 의미를 지니며 화자의 심리 태도를 이해하고 원활하게 소통하려면 보조동사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보조동사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파악하기 어렵다. 중국인학습자도 마찬가지로 보조동사를 습득하는 데 많은 난관을 겪고 있다.
........................
1.2 연구방법본
연구는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 ‘버리다’와 ‘치우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의미·통사·화용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병렬말뭉1.2 연구방법본 연구는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 ‘버리다’와 ‘치우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의미·통사·화용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병렬말뭉
제 2 장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국어 보조동사의 개념, 특성, 하위분류와 한국어 상, 종결상의 개념을 살펴보고 연구대상을 선정할 것이다.제 3 장에서 선정된 종결상 보조동사 ‘버리다’와 ‘치우다’에 대해 의미적,통사적, 화용적 측면에서 대비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려고 한다.의미적 측면에서 한국의 주요 국어사전인『표준국어대사전』,『연세한국어사전』,『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 선행연구를 통해 ‘버리다’와 ‘치우다’의의미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통사적 측면에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한국어 용례검색기(이하 ‘고려대 말뭉치’라고 한다)에서 수집한자료와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버리다’와 ‘치우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화용적 측면에서 발화의 장소, 화·청자의 관계, 화용적 기능으로나누어 화용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제 4 장에서 대조언어학의 이론을 활용하여 실제 한중 대역 언어자료를통해 종결상 보조동사 ‘버리다’와 ‘치우다’의 중국어 대응양상을 살펴보고각 대응관계를 이루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韩语论文参考
韩语论文参考

................................
제 2 장 한국어 보조동사 및 연구대상 선정
2.1 한국어 보조동사의 개념 및 특성
2.1.1 한국어 보조동사의 개념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우선 가장 기본적인보조동사의 개념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조동사를 지칭하는 용어는 학자마다 ‘도움움직씨’, ‘조동사’, ‘매인풀이씨’, ’도움풀이씨’, ‘보조용언’, ‘의존동사’, ‘보조동사’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보조동사란 본동사와 연결되어 그 풀이를 보조하는 동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보조동사의 개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의를 내린 바가 있었다5.
첫째, 주로 형태론 측면에서 다루었던 연구는 최현배(1937)와 정인승(1969)이 다. 한국어 보조동사에 대한 연구는 최현배(1937)로부터 시작하였고그가 최초로 보조동사의 개념과 범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최현배(1937)에서는 ‘도움움직씨란 것은 제 홀로 완전한 풀이가 되지 못하고, 언제나으뜸움직씨의 뒤에 붙어서 그 풀이하는 일을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정인승(1969)에서는 ‘용언이나 체언으로서 문장의 서술어가 될 때, 그 서술어에 어떠한 뜻을 보태어 돕기 위하여 어떤 동사를 뒤에 잇달아 쓰는 경우가 있으니, 이런 동사를 보조동사라고 한다’ 라고 정의를 내렸다.
둘째, 주로 통사론 측면에서 다루었던 연구는 김주미(1993)와 박영신(1991) 이다. 김주미(1993)에서는 ‘어떤 동사가 자립하여서는 서술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고 반드시 동사구 내포문에 의존해서 서술 기능을 온전히수행한다면 그 동사는 의존동사이다’ 라고 주장하였다. 박영신(1991)에서는 ‘도움풀이씨는 필수적으로 선행하는 다양한 형식의 하위문을 내포하는풀이씨이며, 내포문 풀이씨의 도움을 받아야만 서술 기능이 완결하는 서술기능의 풀이씨이다’라고 정의하였다.
...........................
2.2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 및 연구대상 선정
2.2.1 한국어의 상과 양태의 개념
앞의 1.2 에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것을 보면, 대다수의 연구에서 보조동사의 의미적 특성을 고찰할 때 상 의미와 양태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그러므로 먼저 한국어의 상과 양태의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2.1.1 한국어의 상과 종결상
상(aspect)이라는 용어는 슬라브어 ‘vid’에 해당되는 것으로 학자에 따라견해가 다르다. Comrie(1976)에서 ‘상은 장면의 내적인 시간 구성을 받아들이는 여러 가지 방법’이라고 정의를 내렸다.6한국에서 상에 대한 대표적인연구는 김성화(1990), 이선웅(1995), 박덕유(1998), 서정수(2006), 고영근·구본관(2008) 등을 들 수 있다.
김성화(1990)에서는 국어의 상은 하나의 동적 상황 또는 동일한 동적 상황의 동작이 전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습을 일컫는다고 정의하였다.이선웅(1995)에서는 상은 동사의 행위가 실현되는 상황이 내적으로 어떠한시간적 속성을 지나고 있느냐에 관심이 있는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박덕유(1998)에서는 상은 이동의 전개 과정에서 동적 상황이 나타내는 움직임의 모습을 문법화한 것으로 상황의 내적인 시간 구성을 갖는 것이라고 했으며, 한국어의 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와 보조동사의 결합을 상적 의미로본다. 박선옥(2002)에서는 상은 어떤 행위나 사건, 상태에 대하여 그 장면이 이루어지는 시간 선상의 내적인 구성으로 화자가 그 사건이나 상황을바라보는 관점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서정수(2006)에서는 상이란 현재,과거 또는 미래의 한 시제 영역에서, 상황에 대하여 완결상과 미완결상또는 그 밖의 여러 양상으로 파악되는 바를 문법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고영근·구본관(2008)에서는 동작상이란 동사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진행이나 완료와 같이 개별 시제에 종속되어 있는 동작의 양상을가리킨다고 하였다.
.............................

제 3 장 종결상 보조동사의 의미·통사·화용적 특성.............................. 25
3.1 종결상 보조동사의 의미적 특성...................................25
3.1.1 ‘버리다’의 의미적 특성................................... 27
3.1.2 ‘치우다’의 의미적 특성........................................ 33
제 4 장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의 중국어 대응 양상....................................73
4.1 한중병렬말뭉치에 나타난 중국어 대응 양상.......................................73
4.1.1 보조동사 ‘버리다’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73
4.1.2 보조동사 ‘치우다’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75
제 5 장 결론..............................88
제 4 장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의 중국어 대응 양상

4.1 한중병렬말뭉치에 나타난 중국어 대응 양상
4.1.1 보조동사 ‘버리다’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본고에서 수집한 문어 대역 텍스트19에서 보조동사 ‘버리다’가 나타난 빈도수가 80 회, 구어 대역 텍스트20에서 보조동사 ‘버리다’가 나타난 빈도수가 422 회이다. 말뭉치에서 보조동사 ‘버리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은 3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보어와 대응되는 경우, 조사와 대응되는 경우, 영대응의 경우가 나타난 횟수는 각각 131, 46, 327 이다. 그림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3. 한중병렬말뭉치에서 보조동사 ‘버리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의 분

韩语论文参考
韩语论文参考

...........................
제 5 장 결론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의미적 특성은 상과 양태의 의미를 2 가지 측면으로 고찰하였다. ‘버리다’와 ‘치우다’는 모두 종결상 보조동사이기 때문에 모두 ‘종결’의 상적 의미를 갖는다. 양태의미의 측면에서 ‘버리다’와 ‘치우다’는 공통적으로 결과의강조, 기대와 일치할 때 부담의 제거, 시원함, 성취감과 기대와 불일치할때 후회, 아쉬움, 서운함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치우다’의 선행동사제약이 많기 때문에 ‘버리다’와 같이 ‘주어의 상태 변화 결과에 대한 강조’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없으며 ‘종결의 신속성’라는 양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버리다’는 이러한 양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통사적 특성은 선행용언 제약, 주어 제약, 부사어 결합 제약, 선어말어미결합 제약, 부정표현 결합 제약, 서법 제약을 6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버리다’는 거의 통사적 제약을 받지 않지만 ‘치우다’는 선행동사의 제한성에 따라 선행동사, 주어의 선택에서 제약을 많이 받으며, 존대표시 선어말어미, 부정 표현과의 결합에도 일정한 제약을 받는다.
화용적 특성은 발화의 장소, 화자와 청자의 관계, 화용적 기능을 3 가지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버리다’가 문어와 구어에서 사용되는 빈도가비슷한 반면 ‘치우다’가 구어에 비해 문어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버리다’와 ‘치우다’는 화용적 기능에서 비슷한 양상이 나왔다. 발화의 장소의측면에서는 ‘버리다’와 ‘치우다’가 공적인 장소에 비해 사적인 장소에 훨씬많이 나타난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의 측면에서는 ‘버리다’와 ‘치우다’가대부분 화자와 청자의 지위가 동등한 경우에 사용된다. 화용적 기능의 측면에서는 ‘버리다’와 ‘치우다’가 평가기능을 가장 많이 발휘하며 ‘버리다’는권유·명령기능을 두번째로 많이 사용된지만 ‘치우다’는 서술기능을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다.
参考文献(略)


如果您有论文相关需求,可以通过下面的方式联系我们
点击联系客服
QQ 1429724474 电话 18964107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