跨文化传播视角下中韩海外文化中心比较探讨-以驻韩中国文化中心与驻华韩国文化院为例

论文价格:150元/篇 论文用途:论文写作指导 Instruction 编辑:硕博论文网 点击次数:
论文字数:33233 论文编号:sb2021112915040940233 日期:2021-12-03 来源:硕博论文网
本文是一篇韩国文化论文,本研究将这两个文化院作为研究案例,对双方在对方国家的文化交流现状进行了分析和比较,揭示了共同点和不同点,提出了中国驻韩文化院的问题点,提出了先放方案。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문화는 한 나라와 민족의 세계관과 인생관 및 가치관은 물론 모든 사회의 생활양식, 행위방식, 사고방식까지 포함하며 민족성과 지역성을 가지고 있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은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 조직, 집단 및 국가간에 이루어지는 정보전파와 문화교류의 활동이다. 21 세기에 들어 글로벌화가 가속화되고 정보통신기술과 교통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다른 민족과 국가 간의 문화간 교류도 활발해지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문화 충돌과 가치관의 갈등 등 문제들도 날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문제들이얽혀 있는 복잡한 글로벌 콘텍스트에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 및 실천적 연구의 응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한 양국은 예로부터 빈번하게 문화교류를 해왔고 한자와 유교사상 및‘중국화 불교’등 중국 문화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에 다른 나라에 비해 서로간의 유사점이 많지만지리적 환경, 역사적 발전과정, 이데올로기 등의 차이로 인해 각각 서로 다른 부호체계와관념체계 및 규칙체계를 형성하였고 일정한 문화 차이가 존재한다. 양국 간의 이러한 문화적 차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의 부재가 한때 양국 민중 사이의 혐오감을 야기하였고 심지어 양국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방해하였다. 이것은 현재 양국 간에 상호 이해와 문화소통 및 문화적 공감의 촉진을 기본 목표로 하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책임이 여전히무겁고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서구의 문화강국이든 다른 문화적 영향력이 약한 나라든 여전히 정부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실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한국과 중국에서도 예외가 없다. 양국은 각각 주로 공자학원(孔子學院)과 재외 중국문화원 및 세종학당과 재외 한국문화원 등으로 자체 문화의 해외 전파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서 중한 양국 정부가 해외에 설립한 국가 차원의 재외문화기구인 문화원은 다른 방식에 비해 전문적이고 문화자원의 통합 등 방면에서 독특한 우세를 가지고 있어 국가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실천에서 선도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서울에서 아시아 지역의 첫 번째 중국문화원인 주한중국문화원을 설립하였고 한국 정부는 중국에서 주중한국문화원(북경)과 주상하이한국문화원 두 곳을 설립한 것을 보면 중한 양국은 이 플랫폼을 활용해 상대국에 문화를 전파하는 것을 매우 중시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은 중한 양국의 동급 재외문화기구로서 상대국에서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히 자국의 우수한 문화를 전파하기 위하여 활발하게 활동하는 주중한국문화원은 주한중국문화원에 참고할 만한 효과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에 양자가상대국에서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상황에 대한 비교 연구는 현실적이고 중요한 참고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관련 연구는 미미하다.
................................

1.2 선행연구
1) 중국국내 연구 상황
문화간 커뮤니케이션(跨文化傳播)에 대한 연구는 1950 년대에 시작되었는데 미국 문화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이 먼저‘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후 미국 문화학자들의 주도로 1970 년대 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학이 한 학과로 받아들여졌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국학자들의 관심과 연구는 1980년대2에 시작되었고 21세기에 들어 본격화되었다. 기존 연구 결과는 신문학, 커뮤니케이션학, 문학, 언어학, 교육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가 교차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주로 영상물, 광고 및번역 과정, 문학 작품, 교육 과정, 대중매체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다른 국가와의 비교 연구 등 주제에 집중되어 있다. 이 중에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 연구를 살펴보면미국 및 영국 같은 서구 국가와의 비교에 중점을 두며 한국과 일본은 모두 한자문화권에속하지만 중일간의 비교 연구가 12 편이 있는 반면에 중한 양국간의 비교 연구는 6 편밖에없다.3중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들 비교 연구 성과는 주로 중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특징 및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른과제와 시각에서 중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진행한 연구는 부족하다.
공자학원과 재외 중국문화원은 모두 중국이 해외에서 설립한 대표적인 언어보급과 문화전파기관으로 현지에서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공자학원은 2004 년 설립된 이래 학계와 민중의 관심을 받아 관련 연구 성과가 비교적 풍부한4반면 재외 중국문화원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
재외 중국문화원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관심이나 전문적 학술연구는 2010 년대부터 시작되었고5현재 10 편의 관련 학술 논문만이 있는데 이 논문들은 주로 질적인 접근방법으로 재외 중국문화원의 전반적인 운영6, 건설, 발전 현황과 발전 전략7및 도서관 건립 상황8을 탐구하였다. 예를 들어 武學良, 於菲菲9(2013)는 재외 중국문화원의 최근 몇 년 동안의 발전 현황을 고찰하여 재외 중국문화원의 도서관 문헌자원 건설 중에 존재한 소장도서의 갱신 속도가 느리고 주재국 민중들의 문화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등 문제들을 지적하였으며 문헌자원의 건설과 배치에 대해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阮耀華10(2015)는 기존 재외 중국문화원의 운영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리체제가 원활하게 운영하지 못하고 인적자원이 부족하며, 교류사업과 실제 수요의 결합이 미흡하고 건설방식에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등 문제들을 지적한 다음 미국과 프랑스의 재외문화원 운영모델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재외 중국문화원의 운영에 대해 제안하였다.
...................................

2. 이론 및 배경 고찰

2.1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면 우선 문화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현재 문화에관한 통일된 정의는 아직 없고 동서양 학계가 각각 다른 연구 분야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문화’라는 용어를 해석하거나 요약하였다. 유네스코는 다른 국가 및 각 분야의 학자들의 관점을 모아 2001 년의‘세계문화 다양성 선언’에서 문화에는 어떤 사회나 사회 집단이 특유하는 정신, 물질, 지적, 정서적 측면을 포함하는 일련의 특질적 통합이고 예술과문학 외에도 생활양식, 공동생활규칙, 가치관 체계, 전통과 신념도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하였다.22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보면 문화가 곧 커뮤니케이션이고 커뮤니케이션은 문화이고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은 상호 작용하여 분리될 수 없으며, 문화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이고 또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의 융합을 촉진한다.23문화 커뮤니케이션은 문화내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으로 나뉠수 있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은 1950 년대 제 2 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소련에 대항하기위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실패하자 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시작한데서 비롯되었다. 미국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Edward ·Hall)은 그의 저서인『소리 없는 언어』에서 처음으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개념을 썼다. 현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학은 하나의 교차학과이기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정의도 다양하고 연구시각이 서로 다르며 대략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서로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교제와 교류이다. 둘째, 정보의 부호화(編碼,encoding)와 해독(解碼,decoding)은 서로 다른 기호 시스템에서 온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이 정의에 의하면 발신자(傳播者)와 수용자(受眾) 쌍방이정보의 부호화가 비교적 일치할 때 이것을 동문화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고 반대로쌍방 정보의 부호화가 기본적으로 다를 때 그것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다. 셋째,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양측의 기호 시스템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은 일종의기호 교환 과정이 된다.
........................

2.2 중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배경, 정책 및 수행주체
2.2.1 중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배경 및 정책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국가가 모든 힘을 모아서 경제 기반의 회복과 건설에 집중하였으며 개혁개방 이후 대외 개방의 강도가 높아지면서 전방위의 대외 개방 구도가 형성되었고 국제와의 접촉과 문화교류도 많아졌으며, 이러한 국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화는 한 소프트파워로 국가 차원의 중시를 끌게 되었다. 2000 년 공산당 제 15 기 5 중전회에서 처음으로 경제 분야에서‘밖으로 나간다(走出去)’는 전략을 제시하였고 얼마 되지않은 2002 년에는 문화 분야에서도 문화가‘밖으로 나간다’는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였다.이후 문화가 밖으로 나가고 문화의 매력과 영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점진적으로 국가 차원의 전략으로 끌어올렸다.272012 년 12 월에 국무원은 문화부가 제출한 ‘해외 중국문화센터 발전계획(2012~2020)(海外中國文化中心發展規劃(2012~2020))’에 대한 인가서를 발부하였고 이 계획에 따르면 2020 년까지 재외 중국문화원이 전 세계의 주요 국가와 지역을 커버하는 중국 문화를 전파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이고 총수량이 약 50 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28문화가‘밖으로 나간다’는 것은 곧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의 문화교류이며 중화문화가 다른 문화형태와의 대화와 교류 및 융합의 기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은 설립 초기에 국내 자원이 부족하고 과학기술이 낙후되어 경제가 빈약했기 때문에 국민들의 문화에 대한 수요가 강하지 않았지만 이후의 수십 년간 한국 경제는 비약적으로 발전해‘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경제적 수입이 대폭 증가되고 국민의 문화적 욕구가 커지면서 한국 정부는 문화를 국가발전의 한 요인으로 삼고 <문화발전 10 년 계획(1990-1999)>을 세웠으며 이후의 1998 년에는 정식적으로 ‘문화입국’ 전략을 제기하였다.292013 년에 박근혜는 한국 대통령에 취임해 ‘문화융성’의 목표를 제시하였고 한국을진정한 문화강국으로 만들어 온 인류와 한국의 문화유산과 정신을 나누려고 하였다. 이를위해 한국 정부는 세계 20 개국에 분포되어 있는 한국문화원을 2011 년의 24 개에서 2017년의 48 개로 늘릴 것이라고 제안하였다.30한국 정부의‘문화입국’전략과‘문화융성’정책의 실시는 다른 나라와의 문화간 교류를 보다 광범위하고 심도 있게 추진하여 한국어및 한국 문화의 해외 전파를 촉진하였으며 해외에서의 한국 문화의 인지도와 국제적 영향력을 제고하였다.
韩国文化论文参考
韩国文化论文参考
.....................................

3. 중·한 문화원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비교..........................................16
3.1 중·한 문화원의 설립 및 기능.................................................16
3.1.1 주한중국문화원의 설립 및 기능...............................16
3.1.2 주중한국문화원의 설립 및 기능...................................17
4. 주한중국문화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및 대안................................... 42
4.1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문제점 및 대안..................................... 42
4.2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경로의 문제점 및 대안.................................. 43
5. 결론.......................... 49

4. 주한중국문화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및 대안

4.1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문제점 및 대안
1) 내용적인 측면
어느 민족과 국가든지 모두 오랜 기간의 사회실천 속에서 독특하고 다채로운 민족문화를 창조하였는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어떤 문화요소와 내용을 선택하여 전달해야 하는가 하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앞 장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영화와 다큐멘터리, 음악 무용 및 회화미술은 모두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내용 중 출현빈도가 가장 많은 세 가지문화요소이다.
영화와 다큐멘터리 문화요소에 있어서 주한중국문화원에서 상영된 영화작품은 주로 코미디류, 역사전쟁류, 멜로류, 액션류, 청춘류, 판타지 모험류 및 드라마류 7 가지 장르가있으며, 다큐멘터리에는 중국의 고금, 무술, 차문화, 인형, 중국매듭, 사자춤 등 표층의물질적 문화내용을 집중적으로 한국민중들에게 선보였다. 주한중국문화원에 비해 주중한국문화원이 상영하는 영화 작품은 장르가 다양하고 위의 7 가지 유형 외에 미스터리 스릴러와 범죄 및 재난 등의 장르도 있으며, 그리고 다큐멘터리에는 한국의 음식문화와 건축문화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무속신앙, 윤리관, 가치관 등과 같은 심층적 정신문화까지 선보였다. 이로 보면 주한중국문화원이 상영하는 영화의 장르가 상대적으로 단일화되어 있고 다큐멘터리로 전달하려는 문화요소가 물질적 문화 기호에만 머물러 있어 문화간커뮤니케이션의 의미 공유와 사상 교류라는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존재한다. 실제로는 무술과 중국매듭 등 중국 문화 기호를 포함하는 중국 문화의 가치관과 핵심 이념의 전파와 공유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최종 목표이다. 이에 주한중국문화원은 무술, 중국매듭, 의식주행, 민속습관 등으로 대표되는 표층적 문화를 적극적으로 전 파할 뿐만 아니라 중화민족 구성원 개개인의 민족적 특성과 민족심리에 뿌리를 둔 심층적문화요소도 깊이 있게 발굴해야 한다. 영화의 장르를 풍부하게 하고 중국 철학사상, 개인과 사회의 윤리관, 가치관 등을 다루는 다큐멘터리를 추가함으로써 중국의 가치관과 문화이념 및 사고방식을 한국 민중들에게 직관적이고 생동하게 전달해야 한다.
韩国文化论文怎么写
韩国文化论文怎么写
............................

5. 결론
중한 양국은 모두 유교문화권에 속하지만 일정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며 서로의 문화차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양국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일정한문제점이 있고 관련 연구가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중한 양국 정부가 각각 상대국에서 설립한 같은 등급의 전문적 재외문화기구인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최전방에 있고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두 문화원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양자의 상대국에서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현황에 대해분석과 비교를 하였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으며, 주한중국문화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 2 장에서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중한 양국 각자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배경과 관련 정책 및 수행주체, 그리고 재외 중국문화원과 한국문화원의 설립상황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중한 양국 정부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인 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행주체이며, 이들 수행주체 가운데서 양국 정부가 해외에 설립한 재외문화원은 다른 방식에 비해 독특한 강점을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실천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양국 재외문화원의 설립상황을 보면 현재까지 총 34 개국에 35 개소의 재외 중국문화원이 설립되었고 운영중이며 이들 중국문화원 중에 주한중국문화원은 중국 정부가 아시아지역에서 첫번째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설립한 것이다. 재외 한국문화원은 총 27 개국에 32 개소가설립되었고 운영중이며 중국 대륙에 이미 주중한국문화원(북경)과 주상하이한국문화원 두개의 문화원이 설립되었다.
제 3 장에서는 우선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의 설립 및 기능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두 문화원이 모두 자체 국가 및 문화 관련 정보서비스 제공, 교육프로그램과 문화행사 사업 운영, 자체 문화의 소개와 전파 및 중한 문화교류의 촉진 세 가지 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조직구조에 있어서 모두 문화원장이 문화원 전반 업무를 통솔하고 아래에 인사, 재무, 시설관리, 기획, 교학, 홍보 등 관련업무를 담당하는 4 개 정도의 부서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주중한국문화원이 4 대 입주기관과 유기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 전파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위하고 있는 데에 비해 주한중국문화원은 다른 관계기관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가 미약하다. 또한 주중한국문화원의시설이 주한중국문화원보다 다양하고 잘 갖추어져 있다.
参考文献(略)

如果您有论文相关需求,可以通过下面的方式联系我们
点击联系客服
QQ 1429724474 电话 18964107217